케네디 전 대통령 조카인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바이든, ‘케네디 암살 기록’ 공개 연기…케네디 주니어 반발

by 이장열 편집인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국가안보상의 우려를 이유로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사건 관련 특정 기밀문건의 공개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달 30일(현지 시간) 바이든 행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한을 발표했다고 에포크타임는 보도했다.

케네디 전 대통령의 조카인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를 주축으로 큰 반발이 일고 있다. 앞서 케네디 주니어는 암살 사건에 미 중앙정보국(CIA)이 관여했으며 자신 또한 CIA로부터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주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내년 미국 대선 민주당 후보 경선에 뛰어들면서 조 바이든 현 대통령과 겨루게 된 케네디 주니어는 행정부의 발표 뒤인 이달 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행정부가 암살 사건을 은폐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케네디 주니어는 “암살은 60년 전의 일이다. 대체 어떤 국가안보 기밀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단 말인가”라며 “무엇을 숨기고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여론의 관심이 쏠리는 것을 막고자 의도적으로 지난달 30일을 골라 이 같은 결정을 발표했다면서 강도 높게 비판했다. 실제 지난달 30일은 미국 독립기념일(7월 4일)을 앞두고 있던 주말로, 이날은 미국에서 1년 중 가장 대표적인 공휴일이다.

그뿐만 아니다. 케네디 주니어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의 이번 연기 결정은 지난 1992년 제정된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기록수집법’을 불법적으로 위반했다. 암살기록수집법은 케네디 전 대통령의 암살 관련 문건 공개 시한을 2017년 10월 26일로 규정했다. 바꿔 말하면 2017년 10월 이후에는 미국 정부가 보유한 모든 기록을 공개해야 한다는 의미다.

케네디 전 대통령의 암살 관련 문건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보관한다. 트럼프 전임 행정부를 포함,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기록 공개 시한은 이미 여러 차례 연장됐다.

미국 대통령은 기밀문건에 담긴 내용이 정보 당국과 사법기관, 외교·안보정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직권으로 기밀 해제를 보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관련 기록을 공개하라는 압박이 거세지면서, 지난해 말 바이든 대통령은 나머지 문건 공개를 승인한다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지난달 30일 백악관은 “기록의 99% 이상이 공개됐다”면서도 문서기록관리청 측이 ‘특정 수정·편집된 정보’의 공개를 연기할 것을 권고했다고 설명, 정보 당국과 사법기관, 외교·안보정책에 미칠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해명했다.

보류된 기록의 향후 공개 여부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은 미 국가기밀문서해제센터(NDC)가 수립한 ‘투명성 계획’ 정책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투명성 계획은 정보 당국과 사법기관, 외교·안보정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방지하는 동시에 대중이 최대한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케네디 주니어는 대선 출마를 선언한 뒤부터 케네디 전 대통령이 미국 정부에 의해 살해됐다는 주장을 더 강력히 피력하는 모양새다.

케네디 주니어는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진상조사위원회(워렌위원회) 위원 중 앨런 덜레스 전 CIA 국장이 포함돼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덜레스 전 국장은 케네디 전 대통령으로 인해 해고된 인물로, 암살 사건 6년 후인 1969년에 사망했다. 죽을 때까지 덜레스 전 국장은 암살 관여 의혹을 부인했으며 CIA 또한 암살 개입 의혹을 적극 부인했다.

케네디 주니어는 덜레스 전 국장이 위원회에서 자신의 지위를 이용, CIA가 암살에 개입했다는 증거를 은폐했다고 보고 있다.

1979년 미 하원 특별조사위원회는 최소 두 명의 총격범과 공모자가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에 연루됐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암살 혐의로 기소된 사람은 미 해병대 출신인 리 하비 오즈월드 한 사람뿐이었다. 자신은 범인이 아니라고 주장한 오즈월드는 암살 사건 며칠 뒤 재판을 받기 위해 이동하던 중에 갑자기 나타난 잭 루비라는 사람에게 살해당했다.

나이트클럽 사장인 루비는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항소심에서 승소한 후 다음 재판을 기다리던 중 감옥에서 폐암으로 1967년 사망했다.

이에 지난달 한 인터뷰에서 “케네디 전 대통령처럼 정보기관의 표적이 되는 것과 관련, 안전이 걱정되지는 않느냐”는 질문을 받은 케네디 주니어는 “조심해야 한다”며 “예방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About THE BUPYEONG POS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