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도시정보 단말기…구글 “직접 운전은 시간낭비”

운전대에서 손을 떼고 도로에서 눈을 떼는 자율주행차량이 자동차 산업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구글에 이어 애플까지 이른바 ‘IT공룡’들이 자율주행차량 개발 경쟁에 나서면서다. IT공룡들은 왜 자율주행차량에 집착하는 것일까.

▶구글 무인차 5년내 상용화=가장 도전적인 자율주행차량 로드맵을 내놓은 기업은 미국의 구글이다. 구글은 지난해 12월 구글의 자율주행차량(이하 구글차) 컨셉트카를 내놨다. 올해 캘리포니아 도로에서 시험주행에 나서고 2~5년내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구글차는 운전대, 페달, 브레이크 등을 모두 생략한 ‘완전 무인차’다. 차량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얻은 방대한 고해상도 데이터를 3D지도로 조합해 10cm 이내를 정밀하게 분석해 달린다. 최초의 구글차는 미국 디트로이트에 본사를 둔 로쉬(Roush)가 제작했다. 초기 차량은 150대 가량을 제조할 계획이다.

↑ 구글이 지난해 선보인 자율주행차량 컨셉트카.

애플은 코드명 ‘타이탄’이라는 이름으로 전문인력 1000여명을 투입해 무인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를 1년째 진행중이다. 최근에는 카메라 설비 및 지도제작 센서장치를 탑재한 애플의 미니밴이 발견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업계에선 애플이 오는 2020년께 전기차를 내놓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車는 도시정보 단말기(?)=IT기업들이 앞다퉈 자율주행차량에 뛰어드는 이유는 이들의 미래차 구상에서 드러난다. IT업체의 미래차는 더이상 차가 아닌 ‘단말기’다. 구글의 공동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은 지난해 투자설명회에서 “자율주행차량은 효율적인 도시 구축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자동차는 도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말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도로를 질주하는 차량의 주체적인 입지를 휴대전화와 같은 수동적 매개체로 평가절하하는 도발적인 발언으로 평가됐다.

브린은 “대부분 도시의 30~50% 토지가 주차장”이라며 “1인 1대의 차량을 소유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현재의 자동차 산업은 비효율적”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구글 자율주행차량 총괄 디렉터 크리스 엄슨도 한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운전에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정체는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며 “자율운전차를 통해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베이비붐 세대(1946~1963년생)는 운전보다 아이들과 대화를 하고 싶어한다”고 덧붙였다.

▶구글차 ‘실적 위기감’ 돌파구=일각에서는 구글이 도시 효율화라는 인프라 사업에 나선 배경에 실적 위기감이 자리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구글은 현재 수익의 대부분을 ‘검색 서비스’에 의존하고 있다.

↑ 구글차가 고정밀 지도 데이터를 인식하는 모습.

그러나 본업인 검색기술은 전세계적으로 구글이 독보적이기 때문에 더이상 강화시킬 분야가 마땅히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이 때문에 주주들은 거액의 자본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라는 압력을 높이고 있다. 구글의 자기자본은 이미 100조원을 넘어서 미국 GE와 일본 도요타, 독일 폴크스바겐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인프라 사업은 장기 자금 조달 능력이 수반돼야 하기 때문에 자본력이 있는 대기업만이 진입할 수 있다”며 “진입장벽은 매우 높지만 일단 진입하면 안정된 사업 모델을 확립할 수 있어 구글 등 IT업계가 눈독을 들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헤럴드경제=천예선 기자]

About THE BUPYEONG POS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