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망(春望)

춘망(春望) / 두보(杜甫)

國破山河在 城春草木深(국파산하재 성춘초목심)
感時花濺淚 恨別鳥驚心(감시화천루 한별조경심)
烽火連三月 家書抵萬金(봉화연삼월 가서저만금)
白頭搔更短 渾欲不勝簪(백두소갱단 혼욕불승잠)

봄에 바라보다

나라는 깨졌으나 산하는 여전하고
성에 봄이 오니 초목이 무성하다
시절을 생각하니 꽃을 봐도 눈물이 흐르고
이별이 한스러워 새 소리에도 놀란다
봉홧불 석 달이나 계속되니
집으로부터의 편지가 만금같이 생각 되네
흰머리는 긁을수록 짧아져
이제는 비녀조차 꽂을 수 없다네

이 시는 두보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첫 연 國破山河在 城春草木深은 유명하여 나라가 어지러울 때 많은 애국지사들의 심금을 울렸다. 전반부에서는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이, 후반부에서는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읽을수록 비통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지덕(至德) 2년 (757년) 두보의 나이 46세 때 안록산의 반란군에 붙잡혀 장안에 억류돼 있으면서 쓴 시다.

⦁春望, 봄에 바라보다  ⦁感時, 시절을 느끼니, 즉 시절을 생각하니
⦁濺, 흩뿌릴 천  ⦁恨別, 이별을 한스럽게 느낀다
⦁家書, 집에서 온 편지  ⦁抵, 해당하다 ⦁搔, 긁을 소
⦁渾, 모두, 아주  ⦁欲, … 할 것 같다
⦁不勝簪, 비녀를 이길 수 없다, 즉 비녀를 꽂을 수 없다

 

‘여치 이우재의 한시 한 수’를 신설,
월 2회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옛 시인묵객들의 소회와 절창이
오늘과 조응하는 묘미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편집자주】

‘부평위클리’ 월 5천원 후원구독자 300명 참여(클릭)

About THE BUPYEONG WEEKLY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